장비의 Windows 10 PC를 셋업하던중 PC의 IP가 변경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보통은 위와 같은 네트워크 IPv4 설정에서 IP를 입력해서 적용하면 반영이 됐지만, 무슨 일인지 변경해도 계속해서 PC의 IP가 169.254.x.x로 고정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스위치, 허브, 랜선등 HW적인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찾아본 결과 문제의 원인이 Gratuitous ARP이슈이며 169.254.x.x IP주소는 DHCP 서버로 부터 IP주소를 할당받지 못할때 스스로 설정되는 APIPA라는 것을 알게됐다.
해당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 netsh 명령어를 사용했다.
우선 윈도우 CMD창을 실행하고
를 입력한다.
그러면 위와 같이 해당 PC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종류와 상태가 출력된다.
이중 문제가 되는 네트워크 어댑터의 색인을 확인한다. (본인의 경우는 이더넷이었으므로 9번)
그리고나서 해당 색인을 아래 명령어의 x위치에 넣고 입력한다.
그러면 확인됨이라는 출력이 나타날 것이다.
그 이후에는 실행창에서 services.msc를 입력해서 서비스 설정을 실행한다.
그 목록에서 DHCP Client를 찾아서 아래와같이 시작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하고 적용시킨다.
그 이후에는 PC를 재시작후 IP 설정을 변경하면 적용이 된다.
[출처] https://m.blog.naver.com/zkfbdkf/222440924709